내려놓는 법

불만스럽다는 말은 ‘뜻대로 안 된다’
‘자기 마음대로 안 된다는 말’입니다.
이 세상은 제 맘대로 안되는 게 정상이에요.

"예를 들어" 어느 동네에 멋있는 남자가 있어서
열 여자가 다 이 남자하고 결혼하고 싶어 한다면.
이 열 여자가 바라는 대로 되려면 어떻게 할까요.

또 대통령 선거에 서른 명이 후보로 나서서
저마다 대통령이 되고 싶다고 한다면. 모두 원하는
대로 대통령이 된다면 세상이 어떻게 될까요. 망하겠죠.

일은 조금하고 돈은 많이 벌어서 마음껏 쓰면서 살고 싶지요.
만약 모두의 뜻대로 된다면 세상은 뒤죽박죽이 되지 않겠어요.

한국의 부모라면 누구나 자기 자식을 서울대학교에
보내고 싶어 하지 않나요. 그것이 모두 다 이뤄진다면
서울대학교는 어찌 되고 나머지 대학들은 또 어찌 되겠어요.

그러니까 세상이 제 뜻대로 다 된다면 안됩니다.
뜻대로 안 되니까 세상이 이 만큼이라도 굴러가는 거예요.

하나님께 빌고 부처님께 빌고 신에게 빌어 원하는 대로 다
이루어진다고 하면 세상을 잘못되게 망가뜨리는 거예요.
솔직하게 말해야지 거짓말하고 속이면은 안됩니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고 원하는 게 다르기 때문에
뜻대로 이루어지면 세상은 완전히 풍비박산됩니다.

사실은 원하는 대로 안 되는 게 대부분이에요.
왜 그럴까요. 그래야 세상이 이만큼이라도
돌아가거든요. 안 되는 게 정상이에요.

"세상이 내 뜻대로 안 되는 게 정상입니다."
그래야. 내 뜻대로 안 돼도 괴롭지가 않는 겁니다.

그런데 여러분들은 자기 뜻대로 뭐든 돼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뜻대로 안 되면 괴로워하는 거예요.

"내 뜻대로 안 되는 게 정상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뜻대로 안 돼도 괴롭지가 않아요.
괴롭지 않은 상태에서 뜻대로 하고 싶으면 계속 노력하면
언젠가는 이룰 수 있습니다. 다만 그렇게 계속할 뿐이지요.

저는 뭐든지 제 뜻대로 하려고 노력하지만.
내 뜻대로 안 된다고 괴로워하지는 않습니다.

괴로워하지 않으니까 제 뜻대로 안 되어도 열 번이고
스무 번, 서른 번, 마흔 번, 백 번이라도 할 수 있습니다.

뜻대로 안 되는 게 정상이라 생각하면. 계속할 수 있는 거예요.
불퇴전의 신심은 결심해서 하는 게 아니에요. 다만 할 뿐이에요.
자기가 옳다 싶으면 하면 돼요. 내 뜻대로 안 되는 게 세상입니다.

그러니 뜻대로 안 된다고 괴로워할 일 없고. 도리만 알면 간단해요.
불만스러운 마음은 뜻대로 돼야 한다는 잘못된 생각에서 일어납니다.

저도 가끔 여러분들 질문을 보면서 ‘쓸데없는 질문하고 있다’
‘아까 설명했는데 또 엉뚱하게 질문 한다.’ 이런 불만을 느낍니다.

이것은 알려 주면 금방 알아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이 쓸데없다는 생각은 누구 생각입니까. 제 생각이지요.
그 사람은 그 사람 나름대로 진지하게 질문한 것입니다.

그러니 불만스러운 마음을 어떻게 내려놓느냐고 묻지 말고
불만스러운 마음이 일어나는 원인을 알고 불만스러운 마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불만스러운 마음이 일어나기
이전으로 돌아가서 ‘내가 또 내 뜻대로 돼야 한다는 데 사로잡혔구나’

알아차리면 내려 놓여요. ‘내려놔야지’ 생각하면 내려 놓이지 않아요.
지금 내 고집대로 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아차리면 벌써 내려져 있어요.
‘앗 뜨거워’ 하면 그 뜨거운 물건이 나도 모르게 떨어져 있듯이 말입니다.

- 법륜스님 -